본문 바로가기

How to eat/Natural wine

내추럴와인과 컨벤셔널 와인 차이

반응형

 

 

나는 다행이도 내추럴와인 전문가의 추천으로 내추럴와인을 만나게 되었기도 하고

내추럴 특유의 펑키한 동치미를 사랑하기 때문에 내추럴와인 러버가 되었다.

 


친구가 컨벤셔널 와인이 뭐냐고 물어봐서 찾아보다가 재미있는 기사를 보게 되었다.

비유가 너무 재미있다. 

‘컨벤셔널 와인’(관습적으로 만든 와인)의 친근함에 안락하게 빠져있던 애호가들이 난해한 현대 미술 작품을 바라보는 심정으로 내추럴 와인의 세계를 주시하고 있다니. 비유 찰떡,,,

기사 덕분에 내추럴 와인이 인증 절차가 없고, 내추럴 와인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지만 간판으로 내걸지 않는 '샤또 몽투스' 와인 같은 정보도 알게 되었다.

 



기사를 좀 인용하자면

현대 내추럴 와인은 대략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 살충제나 제초제를 치지 않고 성장제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포도의 재배 과정에서 대량 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어떠한 화학적 처리도 하지 않는다.
- 모든 포도는 사람이 손으로 직접 딴다.
- 발효과정과 병입과정에서 와인의 산화를 막는 무수아황산을 아예 첨가하지 않거나 조금만 넣는다.
- 인공 배양한 효모를 사용하지 않는다.
- 청징제(화학적으로 침전물을 만들어 걸러내는 방식)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컨벤셔널 와인은 쉽게 얘기하면 지금까지 우리가 마셔온 거의 모든 와인을 말한다.

마트에 가면 언제가 살 수 있는 와인들은 대부분 대량 생산을 위해 제초제와 살충제를 사용하고, 기계로 수확한다.

가장 큰 차이는 효모다.

내추럴 와인과는 달리 이 와인들은 인공 배양한 특정 효모로 양조한다.

원래 포도의 껍질에는 그 포도의 당을 사랑하는 그 지역의 효모가 붙어산다.

이런 이유로 와인을 만들 때는 청주나 맥주를 만들 때처럼 따로 누룩곰팡이를 따로 넣을 필요가 없다.

이론적으로는 으깨서 놔두고 세심하게 컨트롤만 해주면 와인이 된다.

반면 제초제와 살충제를 사용해 재배한 포도에는 효모가 당연히 부족한데, 그래서 인공 배양한 효모를 쓴다.

그리고 자연적인 방법을 고수하다 보니 컨벤셔널 와인보다 산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내추럴 와인도 시장이 거치다보니 대규모 공장식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무한도전에 나온 혁오가 언제까지 인디밴드이길 바라는가?

 


8월이었나.

여름에 거하게 술을 마시고 그 이후로 술을 마시질 않았더니 요즘 다시 술이 마시고 싶어졌다.

나는 상태가 좋지 않을 때(특히 정서적으로)는 술을 마시지 않는다.

그래서 술을 마시고 싶은 지금 내 상태가 좋은 편인 것 같아서 기분 좋다.

여유롭게 다채로운 향을 가진 내추럴와인을 마실 날이 왔으면 좋겠다. 

그리고 같이 책읽고 얘기하는 친구가 있는데 어제 내 블로그에 가끔 들어오는데 마지막 포스팅이 8월이었다고 이야기를 해서 이제 다시 꾸준히 올려야겠다고 다짐했다. ㅎㅎㅎ 고마워라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story_kr_5b3dcf37e4b05127ccef17d4

 

내추럴 와인을 주문하기 전에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5가지 문제

요새 가장 핫하다는 와인 스타일이다

www.huffingtonpost.kr

 

반응형

google-site-verification=mokmFsyzCDBHq6Kqs6nwJ6ZtJrUW4c9he_9YRIJoV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