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w to know/Study group of counseling

자퇴, 학업중단숙려제::마블링 개인상담 수퍼비전 복습

반응형

 

슈비 일시 : 2020.09.22.
슈바 : ㄱㅅㅇ by 심리상담연구소 ㅅㅁ
상담자 : kys

 

학부모와 동맹

-학부모 면담은 상담 초기(1~3회기 이후)에 한번 실시하여, 가정사 확인, 가정 내 필요한 점 이해시키고 -> 상담을 진행 -> 종결 시 가정 내 필요한 점 안내하고 연계 기관 안내 하기
-2차 이득 제거에 협조 요청. 예, 학교에 갔을 때만 관심주기. 평소에 관심과 애정 제공, 아이컨택하기, 일주일에 한번은 밥 맛있게 해서 먹이기 등
-부모 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 죽고싶다고 하면 너만 죽고싶나 노노.. => ‘죽고싶다=힘들다’라는 이해 시키고, 표현 구체화 시키기. 예, “죽고싶다는 말을 풀어서 이야기 해줄래?”, “엄마한테 죽고싶다고 했을 때, 엄마가 어떤 걸 해주길 원했니?”

-결혼 생활 유지하지만 사실상 한부모 가정인 경우 : 대부분 생계 때문에 에너지를 다 써서 정서적 돌봄이 안됨. 이 가정의 장점은 엄마/아빠의 자리를 지켰다는 것. 입시에서 사회배려자 전형에 한부모전형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어떤 게 더 실리가 있을지 알아보고 안내하기. 

-생활하는 집/방의 구조도 파악해야 함 : 코로나 시국이라 더 중요해짐. 

 

 

심리검사

 

KFD

-가족화에서 내담자가 봤을 때 느껴지는 감정 물어보기.

 

HTP
-HTP의 P에서 차렷 자세, 딱 붙은 팔 : 대처 잘 못함을 시사.
-HTP의 P에서 어깨 : 책임감을 느낄 수 있음
-HTP의 P에서 가린 손 : 사람과 소통하려는 의지 낮음 시사.

 

MMPI-A
-MMPI 2-8척도 : 어려운 케이스. 약물치료 병행하는 것이 좋음. 청소년 시기라면, 이 시기가 분열형으로 가는 것을 막는 아주 중요한 시기.

-부정적인 자아상 : 나를 귀하게 대접한 적이 없기 때문에 => 자신과 화해해야 함. 내가 괜찮은 사람이라는 걸 느낄 수 있도록 상담 장면에서 미러링.

 

 

자퇴/학업중단숙려제
-자퇴/학업중단숙려제 희망하는 내담자 : 내담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학교와 검정고시의 장단점을 꼼꼼히 찾아주기. 검정고시는 학원 다니고 돈이 드는데, 학교는 무상에다 밥도 줌.(중학교 케이스) ‘초졸’과 ‘중졸’이라는 사람들의 시선도 다름. 학업 능력이 없다면 검정고시 어려움. 내담자가 비교해보고 선택할 수 있게.
-수업 회피하는 내담자 : 수업에 들어가기 힘든 이유 정확히 파악하기
-학교만 그만두면 해결될거라고 생각하는 내담자 : 문제의 본질이 학교가 아닐 가능성 염두하고 명료화 필요. 만약, 자기혐오가 심한 내담자라면 싸우는 대상이 학교가 아니라 자신이라는 것, 학교를 그만둔다고 자기혐오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 내가 나를 못 마땅해하니까 다른 사람도 나를 싫어할 것 같고, 그렇게 생각하면 학교가기 싫다는 메커니즘 이해시키기.

- 단, 학교에서 사람들 만나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일 수 있다는 것은 인정 해주기. 정당화. “이렇게 생각하면 진짜 ~하겠다.”, “너에게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겠지.”, “만약에 나라도 ~하겠다.“
-수업 회피/자퇴 의사를 밝혔을 때의 2차 이득 파악해서 제거하고 (예, 학교 안가면 엄마/선생님의 관심 받는다) 긍정 행위에 대한 강화 (학교 잘 가면 관심주기 ) 제공하기
-숙려제 이후 자퇴를 희망하는 내담자 : 학교밖 청소년 지원 안내

 


진로상담
-진로선택 과정에 함께 찾아보면서 성숙한 어른의 모습 보여주기.(따흐흑)
-커리어넷 https://www.career.go.kr/cnet/front/main/main.do→ 학과정보→ 고등학교 찾고 입시요강 찾기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 https://www.jinhak.or.kr/index.do→ 고등학교 정보→ 진로종합검사

 서울시교육청 특성화고 입학취업 http://high-job.sen.go.kr/→ 입학요강, 성공사례, 특성화고 지도

 

 

기타
-할 얘기가 없다며 비자발적인 내담자 : “그냥 너가 상담에 온 이유를 이야기 하면 돼.”
-병원은 보호자 동의 하에 상담사가 대신 동행하는 것 가능함

-상담자의 느낌 공유해주기. “아무렇지 않다고 하니까 더 마음이 아프다.” 

-집착하다가 차인 내담자 : 애착 경험이 적기 때문에 관계에서의 거리감각이 떨어짐. 이렇게 애착이 약한 사람은 너무 들러 붙거나/너무 거리두는 방식의 관계 패턴 => 이 패턴을 상담장면과 친구관계를 통해 확인하기. 가족에게 못받은 애정을 친구에게 받으려고 하면, 친구 입장에서는 부담. 서로의 욕구 수준이 다르니 갈등이 생김. -> 친구관계가 알게 모르게 자기 뜻대로 안됐을 것. 상처받고 굴 속으로 들어가고 싶은 심정 => 내담자가 가족에서 경험한 관계 자체가 일방적이라 배려나 관계에 대한 적절한 거리감각을 익혔을 확률이 낮음. 왜 상처받았는지 이 패턴을 스스로 이해하도록 돕고, 적절한 거리를 상담교사가 버텨주면서 알려줘야 함. 부담 없게 하되 너에게 관심이 있고 기다린다는 것을 알려주기. (예, 전화해서 근황 묻기, 보호자 역할이 필요하면 어느정도 추가로 제공해주기. 일주일에 한번 내가 너를 케어한다. )
-낮은 애착 상태에서의 상실 경험 : 촉발경험이 됐을 수 있음. 상실감에 대한 애도가 필요. 
-자해 계정 : 그 만큼 ‘고통스럽다.’라는 것을 알리고 싶은 것임. => 그 마음을 알아주기. 자해를 하고 싶을 정도로 힘들었던 그 마음이 무엇이었는지. 
-부모가 극도로 통제하는 내담자 : 학교도 나를 통제한다고 느껴서 학교에 대한 거부반응이 있을 수 있음. 








반응형

google-site-verification=mokmFsyzCDBHq6Kqs6nwJ6ZtJrUW4c9he_9YRIJoVgM